[현장에서] 나는 현대해상을 응원한다
상태바
[현장에서] 나는 현대해상을 응원한다
  • 김환범 보험설계사 kgn@kongje.or.kr
  • 승인 2024.03.07 09: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공제보험신문=김환범 보험설계사]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필자는 현대해상 소속이 아님을 밝혀둔다. 타 손해보험사의 전속 설계사로, 현대해상의 보험상품은 일절 판매할 수 없다.

실적 발표로 손해보험업계가 시끄러웠다. 가장 뜨거운 이슈는 역시 메리츠화재와 현대해상이었다. 메리츠화재는 순이익 기준 2위에 오르며 오랜 기간 고착돼온 빅4 구도를 흔들었다. 반면 현대해상은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고 많은 언론은 현대해상이 체면을 구겼다고 평했다. 

그런데 보험사의 체면을 손익으로 따질 일이던가? 보험의 본질은 보장이다. 소비자는 누구나 위험할 때 보장을 받으려 보험에 가입한다. 급격하고 우연한 사고는 없는 게 가장 좋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그래서 보험이 존재하고, 손익으로 보험사의 체면을 말하기에 앞서, ‘왜’ 좋지 않았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현대해상의 실적이 좋지 않았던 데는 장기인보험이 있었다. 특히 실손보험에서의 손해율 여파가 컸다. 현대해상은 전통적으로 실손보험 점유율이 높다. 이는 또 어린이보험의 절대자란 명예의 그림자이기도 하다.

현대해상은 어린이보험의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단기간이 아니라 근 10년을 봐도 그렇다. 태어나는 아이들 10명 중 적어도 6명은 현대해상의 보장을 받는다. 태어나기 전엔 실손보험도 없었던 이 아이들은 실손보험 또한 현대해상에 가입한다. 

지난해 상황을 생각해보자. 호흡기감염병이 크게 유행했다. 이러한 질병의 발생빈도는 영‧유아 및 학령기에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자연히 현대해상의 실손보험금 지급도 많을 수밖에 없었다.

코로나19 이후 급증한 발달지연 아동도 현대해상엔 뼈아팠다. 현행법상 의료행위를 보조한다고 보기 어려운 민간자격자에 의한 치료, 이에 대한 보장 문제는 국정감사에서 거론됐다. 법리적으로 다퉈볼 여지도 있었지만, 현대해상은 정상적인 의료기관에 대한 안내와 함께 최대 6개월간 우선 지급하는 걸 택했다. 

줘야 할 보험금을 주고 그 때문에 보험손익이 악화됐다. 사고는 불가항력, 현대해상이 어떻게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었다. 감염병의 대유행은 사회적 재난에 가까웠고, 발달지연 아동의 보호는 어떻게 보면 국가가 미처 챙기지 못한 문제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현대해상은 저조한 실적에 대한 해결책으로 어린이보험을 비롯한 장기인보험 판매를 더욱 늘리겠다고 했다. 그럼 실손보험도 같이 늘어날 거다. 4세대 실손보험의 갱신이 이뤄져도, 손해율은 장담할 수 없다. 현대해상 역시 잘 알고 있을 내용이다. 그런데도 어린이보험을 놓지 않았다.

어쩌면 상징성에 대한 집착일 수 있다.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의 불합리한 판단일 수도 있다. 하지만 사회안전망의 한 축을 담당하는 보험사라면 박수를 받을 만한 일이라 생각한다. 더구나 지금처럼 출산율이 심각한 때. 금융사가 아닌 보험사를 택한 현대해상을 응원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