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회사 인수에 대형 공제회 ‘총집합’
상태바
골프회사 인수에 대형 공제회 ‘총집합’
  • 고영찬 기자 koyeongchan@kongje.or.kr
  • 승인 2021.07.0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모펀드 M&A에 공제회 투자참여 잇따라
교직원공제회 1000억, 군인공제회 500억 등 고위험 후순위 투자 강행
공공성 대신 수익성만 쫓아 ‘쉬운 돈벌이’, 투자 의사결정 아쉬워
골프용품 전문기업 테일러메이드
골프용품 전문기업 테일러메이드

[한국공제신문=고영찬 기자] 골프용품 기업 테일러메이드 인수와 관련하여 인수금융 대주단에 대형 공제회가 대거 참여한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끈다. 공적자금 성격의 공제회가 고수익을 위해 사모펀드의 기업인수합병(M&A)에 참여하는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테일러메이드를 인수한 사모펀드(PEF) 운용사 센트로이드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센트로이드PE)는 지난 5월 테일러메이드 최대주주인 미국계 PEF인 KPS캐피털파트너스와 최대주주 지분을 인수하는 계약을 맺었다. 인수 금액은 17억달러(약 1조9000억원) 규모다.

테일러메이드 인수 자금 구조는 △인수금융 8000억 △메자닌 5000억 △에쿼티 6000억으로 나뉜다. 이 돈은 증권사와 은행, 주요 공제회 등 재무적투자자(FI)들이 십시일반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문제는 대형 공제회들이 센트로이드PE의 자금 조달 과정에서 리스크가 큰 후순위 투자자로 대거 참여한다는 것이다.

공제회가 각종 투자사업을 통해 자산운용 수익을 얻고 이를 조합원에게 되돌려주는 것은 꼭 필요한 활동이지만, 공공주택 건설이나 사회기반시설 구축 등 공공성이 큰 사업들이 아니라 ‘기업사냥꾼’으로 불리는 사모펀드의 골프용품 전문기업 인수전까지 참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가장 큰 금액을 투자하기로 한 곳은 공제회의 자금으로 출자 받은 인수금융 전문펀드 운용사다.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이 4.7% 이율을 받는 선순위 텀 론(Term-loan)에 1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는데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은 회사 지분을 하나금융지주가 100% 가지고 있으나 운용기금은 교직원공제회가 출자한 5000억원의 자금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군인공제회의 경우 보장 수익이 높지만 그만큼 위험률이 높은 7.5%의 이율을 받는 후순위 텀 론에 500억원을 투자했고, 과학기술인공제회도 선순위·후순위 텀론에 300억원을 제공하기로 했다.

경찰공제회도 선순위 트랜치(Tranche, 분할발행 채권)에 100억원을 투자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테일러메이드 인수와 관련하여 인수금융을 주도하고 있는 KB국민은행이 KB금융그룹을 통해 충당하는 규모가 선순위 텀 론에 1000억원이라는 점에서 공제회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공제회 4곳 참여, 무분별한 투자 ‘눈총’

공제회들이 투자금을 제대로 회수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우려가 나오고 있다. 골프산업은 최근 호황기를 맞았다. 이에 따라 테일러메이드의 인수금액도 상당히 고평가된 상태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국민들이 해외로 가지 않고 국내에서 골프를 즐긴다는 점과 스크린골프 호황으로 신규 골프인구가 증가했다는 점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으나, 코로나19 사태가 회복국면에 접어들어 해외여행에 빗장이 풀리면 수익성이 떨어질 수 있다.

교직원공제회의 경우 자회사로 호텔과 골프장을 이미 운영하고 있으며, 골프용품 업체에까지 투자해 사실상 레저기업이란 이야기마저 나온다.

공제회들은 직접투자에 대한 규제를 피하고자 사모펀드에 높은 지분으로 투자하거나 자회사로 인베스트먼트와 벤처캐피탈을 만드는 등의 방법으로 우회투자를 하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

대형투자자가 연기금과 공제회 등으로 한정적이라 투자정보를 취사선택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해 공제회 자회사를 세우고, 이곳에서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사업 경영권을 취득하는 등 일부 공제회들은 사업 영역을 문어발식으로 확장하는 상황이다.

모 대형 공제회의 전직 관계자는 “공제회는 덩치가 크기 때문에 특정 사업에 진입할 때 규모의 경제가 만들어져서 내부에서도 외부적인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투자를 결정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물론 자산운용에서 안정적인 투자처만 추구한다면 공제회 성장이 더딜 수 있다는 반론도 존재한다. 조합원에게 더 많은 혜택을 돌려주려면 공격적인 투자가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있다. 그럼에도 공공성 대신 수익성만을 쫓아 사모펀드의 M&A까지 관여하는 공제회의 모습은 여러 우려를 낳고 있다.

무리한 투자는 오히려 큰 손실로 되돌아올 수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